심보선(3)
-
120911 <지금 여기의 진보> 발간기념, 홍세화 & 심보선 대담 @문지문화원 사이 (3)
대담의 마지막 파트는 관객들의 질문을 받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진보신당을 두고 지식인들의 엘리트정치라는 비판이 있는 데 대한 생각, 통합진보당에의 쏠림과 진보신당의 낮은 지지율에 대한 생각 등을 묻는 데 대해 홍 대표는 우선 통합진보당이 '통합진보당'이라는 이름을 쓴 것에 대해 문제 제기하셨다. 진보신당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데 '통합진보당'이라는 이름을 쓰는 것은 사실 인간적인 예의가 아니(라고 나 역시 생각해 왔)지 않은가. 심지어 함께 진보신당에 있었던 사람들이 그런 이름을 써도 되느냐고 반문하셨을 때는 심상정이나 노회찬에 대한 언급이 아닌가 생각했다. 감정적 서운함이 없을 수 없는 문제일테니. 글을 쉽게 쓰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쑥스러운 듯 인정하셨다(...그럴 수밖에 없으셨을 테다;). 언어를..
2012.09.18 -
120911 <지금 여기의 진보> 발간기념, 홍세화 & 심보선 대담 @문지문화원 사이 (2)
지난 글에 이어서. 대담 앞부분이 그동안 게으르게 사느라 잊고 있었던 고민의 지점을 새삼 짚어볼 수 있게 한 계기가 되었다면, 중반 이후는 논쟁할만한 내용들이 많이 언급되면서 새로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둘 다 내게는 소중한 기회. 배제된 자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홍세화 대표의 말씀에, 대학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용역(깡패)와 같은 비정규직에 동원되는 이들의 예를 들며 배제된 노동이라는 조건만으로 급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편집자 분의 질문이 있었다. 소외당하는 집단 내에서 '더 배제되는 이들'과 '덜 배제되는 이들'이 서로 대립하는 현실적 문제는 나에게 너무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라 어떻게 대답을 하실지 궁금했다. 홍 대표는 기존의 시스템이나 구조..
2012.09.16 -
120911 <지금 여기의 진보> 발간기념, 홍세화 & 심보선 대담 @문지문화원 사이
화요일 저녁, 문지문화원으로 발걸음을 옮기며, 이런저런 생각에 머릿속이 복잡했다. 심보선 시인의 강연을 들으러 간 거였거나, 심보선 시인이 발언하시는 집회에 간 거였다면 차라리 발걸음이 가벼웠을 게다. 시와 사진과 기사로만 봐 온 '사모하는 시인님'을 직접 본다는 생각에 설렜겠지. 하지만 그럴 수가 없었다. 심보선과 홍세화를 함께 만나는 자리였기 때문에. 홍세화, 라는 사람에 대해 생각하면 저절로 심란해지고 마는 심경에 대해서는 나중에 정리해 보기로 하고-이건 부끄러움을 각오하고 내 '사상의 지도'를 정리해 보는 작업이어야 하는지라-_- 으음. 어쨌든 여전히 내게 홍세화=정치인은 어색한 조합이다. 많은 집회/시위/투쟁의 현장에 그가 나와 있는 모습을 사진으로 계속 보고 있는데도 그렇다. 심지어 '민주당 ..
201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