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ZM(5)
-
방백 이즘(IZM) 인터뷰
지난 2월에 이즘(WWW.IZM.CO.KR)에서 한 방백 인터뷰. 이 인터뷰의 사진들 다 너무 좋고ㅠㅠ 인터뷰 내용도 맘에 든다. 그리고 끝에서 두 번째 질문(준석님 건강 얘기) 내가 한 거다 엉엉. 준석님 건강하셔서 너무 기쁘고 김반야씨께 진심으로 감사함. 앞으로도 계속 건강하셔야 해요 엉엉엉. 승열오라버니도 건강하셔야 하고…어휴 뭔소리하는거야ㅠㅠ 여튼간 스크랩해옴. 방백 인터뷰 인터뷰 : 김반야, 정민재, 홍은솔 정리: 김반야, 정민재 사진 : 이석준 방준석-백현진 콤비는 백현진 솔로 앨범이나 공연에서 꾸준히 함께 해왔다. 하지만 새로 발매한 앨범은 연주 규모나 제작 방식이 전과는 많이 달라졌다. 그래서일까. 이들은 '방백'이라는 새로운 문패를 걸고, 앨범 을 내놓았다. 19년 동안 함..
2016.08.10 -
[IZM] 이승열 인터뷰
다른 사족(같은 제목) 없이 돌직구로 날아든 IZM의 승열오라버니 인터뷰. 읽고 나니 곡예사의 영어 버전이 엄청나게 듣고 싶어졌다ㅠㅠㅠㅠㅠㅠ 승열오라버니 언제 곡예사 영어가사로좀플리즈ㅠㅠㅠㅠㅠㅠㅠ 그렇지만 가장 인상적이었던 멘트는 '2집 끝나고 망한 뮤지컬이 있었어요' 아 오라버니 진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렇게 말씀하셔야겠어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늘 그렇듯이 이승열짱짱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쨌든간 사진이 첨부되어 있긴 한데 다 플럭서스의 프로필 사진이라 패to the스 하고 인터뷰 내용만 스크랩. 물론 캡처본은 보관할 거지만ㅋ 원문은 여기 클릭! 이승열 인터뷰 이승열의 새 앨범 에는 시작부터 알베르 까뮈의 문제작 의 구절이 흐른다. 소설..
2013.06.23 -
[IZM] 이승열 인터뷰 (2013년 5월)
꽤 성실하면서 '읽을 거리 있는' 인터뷰. 이런 인터뷰라면 환영이다. '대중성 어쩌구저쩌구' 하는 거 말고ㅠㅠㅠㅠ 원문은 "여기". 중간중간 내가 넣은 코멘트는 이 색깔의 글씨로. 이승열 인터뷰by 윤은지 이승열의 새 앨범 에는 시작부터 알베르 까뮈의 문제작 의 구절이 흐른다. 소설의 첫 문장('오늘 엄마가 죽었다')만큼이나 강렬한 첫 곡 'Minotaur'는 이번 앨범의 중심이 주변적이고 이질적인 변두리 존재들에 놓여 있음을 암시한다.(곡의 제목도 반인반수의 신화 속 괴물 미노타우로스다). 이는 아티스트 자신이 음악에 또렷이 부각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방인'은 이승열을 가장 투명하게 은유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인터뷰에서 그는 미국 이민자로서의 정체성과 스스로의 주변인적 기질을 언급하며 “..
2013.06.06 -
IZM의 이승열 [V] 앨범 리뷰 + 덧붙이는 문장들.
의 관건은 대중과의 합일을 얼마나 이끌어낼까 라는 것이다. 동시대의 그 어느 음반들보다도 (덧붙이자면 아티스트의 그 어느 전작들보다도) 작품으로의 접근성이 현저히 낮다. 주류 시장의 영역으로부터 철저히 고립되고 철저히 유리될 앨범이다. 일찍부터 봐오지 않았던가. 혼란스럽게 하거나 무감각하게 만드는, 실험성 가득한 음악이 얼마나 많이 중심권에서 배제되어왔는지를. 당장부터 제 가치를 인정받았던 경우가 오히려 특이 사례에 가까웠다. 음반 자체로만 보면 는 다시 보기 힘든 작품이다. 우리나라 대중 음악사에 있어서도 지표로 자리할 만하며 이승열의 디스코그래피에서도 매그넘 오퍼스의 지위를 다툴 공산이 충분히 높다. 무엇보다도 각양의 접근법과 다각화된 관점을 배태시켰다는 점에 있어 앨범의 가치는 수..
2013.06.05 -
[izm] 이승열 인터뷰
2집 발매 후 현재까지 승열옵빠가 하신 인터뷰들 중 가장 길고 재미있고 모르던 사실을 많이 알게 해 주는(ㅎㅎ) 인터뷰...라고 생각함. 사진도 마음에 드는 편. 좀 더 컸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긴 하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감사! ◆이승열 인터뷰 - 인터뷰: 임진모, 정성하, 이대화, 윤지훈/ 사진: 배강범/ 정리: 정성하(bojangle@hanmail.net) 이승열은 2005년 대박을 친 드라마 를 통해 사랑받은 클래지콰이의 곡 'Be my love'에서 노래를 한 인물로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음악마니아들한테는 그 훨씬 이전부터 친숙한 이름이다. 그는 모던 록이 자리 잡기 전에 모던 록을 실험했던 그룹 '유 앤 미 블루'의 한 축으로서, 또 미국에서 돌아와 2003년 12월에 내놓은 양질의 솔..
2007.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