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소설가님 신작소설 낭독회(3)
-
221111 김연수소설가님 신작소설 낭독회 @아람누리도서관 (3)
뭐 대단한 글을 쓴다고 세 번에 나눠서 이걸 쓰고 있는지 모르겠는데(아니 물론 소설가님의 말씀은 훌륭하시고 소설가님 역시 훌륭하심) (소설가님의 말씀을 옮겨적은 내 포스팅이 대단하지 않다는 뜻) 세 번에 걸쳐 후기를 적는 이유는 오직 내가 말이 많아서다...더럽게 주절주절함ㅠㅠㅠㅠ 오늘은 간결하게 써봐야지. 첫 번째 후기는 '이것', 두 번째 후기는 '이것'이었고, 이제는 진짜 마무리. 소설가님 사진부터 올려보고요... 행사가 막바지로 달려가던 때. 조연주편집자님은 음악에 조예가 깊으신! 김연수소설가님께!! 이날 들려주신 음악에 대한 소개 비슷한 것(?????)을 요청하셨는데 소설가님께서는 음악을 듣는 것은 좋아하시지만 가수들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하셨다. 읭 나같으시네 하고 생각했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2.11.16 -
221111 김연수소설가님 신작소설 낭독회 @아람누리도서관 (2)
지난번 후기에 이어지는 포스팅. 젖지 않고 물에 들어가는 법에 대한 얘기를 해주셨다는 말까지 썼으니 그 뒤의 이야기를 이어 써야 하지만 젖지 않고 물에 들어가는 법은 미발표작이므로 둘러둘러 쓰자면... 소설과 관련해 김연수소설가님은 소설가님 글의 가장 주요한 테마라고 할 수 있을 법한,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에 대해 말씀해주셨다.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도록 어려운 일인데 소설은 타인을 이해해야 쓸 수 있는 것이므로, 어떻게 보면 필연적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일이라는 것. 따라서 소설쓰기는 실패가 예정된 글쓰기일 수밖에 없는지도 모르는 일. 하지만 은 실패의 글쓰기가 아닐 것이다. 무언가를 할 때 인간은 실패하는 동시에 변화하니까. 소설가님 말씀을 들으면서 나는 깊은 밤, 기린의 말과 진..
2022.11.15 -
221111 김연수소설가님 신작소설 낭독회 @아람누리도서관 (1)
일주일에 두 번 김연수소설가님의 신작소설 낭독을 들을 수 있다니 이곳이 낙원인가...하는 마음으로 아침에 눈을 떴다. 보통 나는 아침에 이런 마음으로 눈을 뜨지 않고 이 아래 듀선생님 같은 마음으로 뜨기 때문에(365일 중 350일 정도...) 이렇게 기쁜 마음으로 일어나는 것은 그야말로 연례행사. 이것이 다 김연수소설가님 덕분인 것이다ㅠㅠㅠㅠㅠ 감사합니다 소설가님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애니웨이. 직장에서 업무몬처럼 하루의 일을 타닥타닥 해치우고(요즘은 정말 유능한 행정직원이 되어가는 느낌임ㅋㅋㅋㅋㅋ) 퇴근. 행사가 일곱시 반부터라 집에 들러 가방도 두고, 카메라와 사인받을 책(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을 챙겨 아람누리도서관으로 향했다. 이번엔 어디에 사인을 받을까 하고 책표지를 넘겨보다가 내가 아직 아..
2022.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