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9. 18. 23:02ㆍ흐르는 강/소박한 박스
글을 쉽게 쓰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쑥스러운 듯 인정하셨다(...그럴 수밖에 없으셨을 테다;). 언어를 '우리화'할 여유가 부족한 상황에서 될 수 있는 한 정확하게 언어를 쓰려고 노력하다보니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을 쓰지 못하는 것 같다고 하셨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의 한계들을 '옳음/옳지 않음'에 대한 문제로 접근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박하셨다. 특히 '현실'이 억압적인 언어로 쓰이는 한국 사회에서는 이런 접근이야말로 현실추수주의에 빠질 수 있는, 위험한 것이라 말씀하셨다.
사실 처음 저 말씀을 들을 때는 그 의미가 팍 와닿지 않았는데, 지금 키보드를 두드리며 생각해 보니 '진보신당에 현실적 한계가 있다'는 것과 '진보신당이 틀렸다'는 것을 등치화하는 일부 사람들에 대한 비판이 아니었나 싶다. 지난 총선을 앞두고 홍 대표가 뉴욕타임스 같은 데 나와서 진보정치의 할 일을 이야기했을 때 수많은 사람들이 '이상주의에 빠졌다' '현실을 모른다' '저러다가 제표깎아먹기로 결국 새누리당 좋은 꼴 만들어주는 거다' 등등의 비난을 퍼붓던 때가 문득 떠올라 마음이 좀 아팠다. 현실이 이렇든 저렇든 존재함으로써 가치를 발하는 있는 것이 분명 있는 것인데, 현실을 들이밀며 존재마저 밟아버리려 하는, 특히나 '反MB' '反새누리' '反조중동' '反수구꼴통'이라는 기치 이외의 것들은 다 사소하고 중요하지 못하다고 치부해 버리는 그들이야말로 그들이 비난하는 'MB' '새누리' '조중동' '수구꼴통'보다 대체 얼마나 '진보적'이라는 것인지..아오. 내가 이래서 학교다닐 때부터 너희들을 안 좋아했던 거야-_-
더욱 공감됐던 건 심 시인의 말씀이었는데, 심보선 시인은 오늘날의 한국을 '수용소'에 비유하셨다. 오늘날의 한국에 사는 사람들은 수용소에 갇힌 자와 같은 처지라고 하면 되려나. 운이 좋게 착한 소장이나 간수를 만날 수는 있겠지만, 어떤 소장이 오더라도, 내가 '갇힌 자'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결국 누가 대통령이 되든 간에, '갇힌 자'라는 나의 위치가 한방에 변화하지 않음은 자명한 것이다. 그래서 심 시인은 대선을 기다리는 현재의 마음은 '착한 교도소장이 오기를 기다리는 수인의 마음'이고, 그 과정에서 어떤 가치들이 잔존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많다고 말씀하셨다. (들으면서 나도 모르게 무릎을 탁 쳤다!)
나도 막판에 난잡한 질문을 하나 했는데; 사실 질문이라기보다는 '염려'를 전하고 싶은 마음에서 우러나온 말이었다. 나는, 물론 참 많이 고민했지만, 어쨌든 '결과적으로' 총선 때 진보신당에 투표했고, 내 생에 남은 선거들에서 내 표를 '사표'로 만드는 데 조금의 두려움이나 죄책감이 없는 인간이라 '결국은'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에 투표할 테다. 그러나 과연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위해 운동할 사람들은 괜찮을까? 지금처럼 통합/단일화가 정답처럼 이야기되는 상황에서 상처받지 않고 나아갈 수 있을까? 이에 대해 홍 대표는 진보진영이 피선거권도 없는 상황에 직면한 현실을 한숨섞인 어조로 언급하셨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보진영의 발언이 민중의 삶과 조우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는 뉘앙스의 말씀을 하셨는데, 사실 그 말씀이야말로 '답'이 없는 말씀이다보니 들으면서도 가슴이 약간 먹먹했다.
그렇지만 홍 대표가 기대 이상으로 너무나 멋지게! 불러주신 샹송 덕분에, 다행히도 훈훈한 분위기로 대담이 마무리되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 결국, 나는 어찌할 것인가, 나는 어떻게 무엇을 하며 살아가야 할 것인가, 하는 미해결의 질문들과 갑갑한 마음을 안고 집에 돌아가야 했지만, 그래서 왠지 누군가 툭 건드리기만 해도 눈물이 툭툭 떨어질 것 같은 기분이 되어버렸지만, 사실 그 질문이 미해결 상태에 놓여있는 건 '답을 알면서도 실천하지 않으려 하는 나' 때문이라는 걸 누구보다 나 자신이 잘 알지 않는가.
결국 답은 똑같다. 이 책의 제목과 다를 바 없다. 지금, 여기서, 내가 발붙이고 있는 이 땅을, 아주 조금이라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정말 손톱밖에 안되는 미약한 힘이라 하여도, 아낌없이 더해야지. 그것이 너무나 미약할지라도, 사소할지라도, 가시적인 결과를 그 무엇도 이뤄내지 못하는 것 같아 보여도, 그렇기에 더더욱 지침없이, 집요하게, 즐거워하며, 더해야 하는 것이다. 게으르게 머물러 있지 말고, 더 배우고, 더 듣고, 더 읽고, 더 생각하고, 더 말하고, 더 움직이면서. 지금 당장. 그런 의미에서, 많은 '고민의 지점'을 만들어 주신, 심보선 시인과 홍세화 대표께 감사한다. 책 잘 읽겠습니다.
남은 사진들 ㅎ
심보선 시인이 홍세화 대표의 말씀을 들을 때, 너무 소년 같은 표정을 짓고 있어서 사진을 안 찍을래야 안 찍을 수가 없었다. 이렇게 '온 신경을 다해' 남의 말에 집중하는 표정을 짓고 있는 사람은 정말 오랜만이다. 이분의 말씀만큼 이분의 표정도 인상적이었다.
'흐르는 강 > 소박한 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책(방)의 추억. (2) | 2013.09.21 |
---|---|
Always on the side of the egg -Haruki Murakami (0) | 2012.10.22 |
김두식 강연회 <책, 영화, 위키, 그리고 인권> @창비카페 (0) | 2012.09.26 |
120911 <지금 여기의 진보> 발간기념, 홍세화 & 심보선 대담 @문지문화원 사이 (2) (0) | 2012.09.16 |
120911 <지금 여기의 진보> 발간기념, 홍세화 & 심보선 대담 @문지문화원 사이 (0) | 2012.09.12 |
더. (0) | 2012.07.01 |
weiv에서 가져온 글 - 전형적인 여성 싱어송라이터? by 이수연 (0) | 2011.05.11 |